'트레이너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이라는 책에 소개된 내용으로 헬스클럽 및 기타 운동시설 사고 사례 및 대응에 대한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헬스클럽 센터 내 사고 발생 유형
피트니스센터를 비롯한 모든 체육 관련 업종은 안전사고, 도난, 분실 등각종 사건사고에 노출되어있습니다. 이에 따른 책임은 사실 관리자 가지게 되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업무상 주의하는지 여부에 따라 손해배상책임여부가 판단됩니다.
1. 피트니스센터 안전사고 발생 사례
가. 덤벨 사고사례
2012년 어느 날, 송파구에 위치한 피트니스센터에서 한 회원 이 벤치에 누워 덤벨 프레스 동작을 하던 중 세트를 마치고 휴식을 위해 트레이너에게 덤벨을 넘기게 됩니다. 하지만 힘이 빠진 회원은 트레이너가 덤벨을 미처 넘겨받지 못하였을 때 손을 놓아버려 회원 자신의 얼굴 위로 덤벨이 떨어져 치아가 파절 되는 상해를 입게 되었는데요. 위사 안에서 법원은 트레이닝을 지도하는 트레이너 라인 회원이 트레이너에게 덤벨을 넘길 때 회원의 실수로 회원이 덤벨을 떨어뜨리더라도, 덤벨이 회원의 몸으로 떨어져 다치지 않도록 회원의 가슴 옆에서 덤벨을 넘겨받거나 적어도 회원이 트레이너가 덤벨을 제대로 넘겨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서 받도록 할 트레이너의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트레이너가 이를 게을리하였으므로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피트니스센터에서 700만 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피트니스센터 과실 60%, 회원 과실 40%)
나. 러닝머신 사고사례
한 헬스장에서 회원이 러닝머신을 빠른 속도로 걷는 정도 수준의 속도로 러닝머신에서 운동하던 중, 잠시 전화통화를 위해 러닝머신을 켜 둔 채 자리를 비웠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다른 회원이 아직 러닝머신이 작동되고 있음을 미처 확인하지 못한 채 해당 러닝머신에 올라서 다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바람에 얼굴과 어깨부위에 상해를 입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덤벨 사고사례와 마찬가지로 법원은 이용되지 않는 러닝머신이 계속 작동되는 경우 그 작동을 멈추게 하는 등 사고 가발 생하지 않도록 관리·감독할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다하지 않아 회원이 다치게 되었다며 피트니스센터 측의 책임을 물어 580만 원가량을 회원에게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피트니스센터 과실 50%, 회원 과실 50%)
2. 기타 체육시설안전사고 발생 사례
다. 스크린골프장 사례
스크린골프장에서 손님 A가 친 골프공이 스크린을 맞고 튕겨 나와 그 일행인 손님 B의 오른쪽 눈에 맞아 손님 B가 우안 맥락막 파열, 우안 앞방 뒤 물에 의한 녹내장, 우안 황반 위축 등 상해를 입은 사안에서, '골프연습장 관리자는 골프연습장을 운영하면서 설비안전점검으로 안전망을 설치하는 등 골프공이 스크린 등에 맞아 튕겨 나오지 않게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업무상 주의의무가 있습니다"라며 스크린골프장관리자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가 있습니다.
라. 골프장 낙뢰 사망사례
이 사례는 고객이 골프장에서 경기중 낙뢰에 의하여 사망한 경우 제반 사정에 비추어 골프장 운영자의 공작물 설치. 보존상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부정한 사례입니다.
이 사건 당일 오전에는 골프 경기를 하기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날씨였던 점, 천둥은 불규칙하게 떨어지고, 소나기구름의 성장 정도에 의해서 낙뢰 상황은 다르므로 낙뢰 지점을 국지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극히 곤란한 점, 우리나라의 장마철에는 천둥, 번개를 동반한 비가 내리므로 낙뢰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있으나, 사람이 평생 낙뢰를 맞을 확률은 60만 분의 1로서 그 확률이 희박한 점을 들어 예측하기 힘든 자연재해였음을 인정하여 골프장 측의 손해배상책임이 부정되었습니다.
단, 낙뢰의 위험이 상당한 정도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체육시설업자인 골프장 운영자에게 이용자에 대하여 피난 지시를 내릴 주의의무 또는 신의칙상 안전배려 의무를 진다고 판시했습니다. 결국. 여러 사정에 비추어 낙뢰사고를 자연재해로 보아 골프장 운영자의 이용자에 대한 안전배려 의무 위반을 부정한 사례입니다.
*맺음말*
시설물 관리자는 언제나 시설 이용자가 시설물을 이용하면서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미연에 안전조치를 취할 의무가 있고, 이를 게을리하여 이용자가 사고를 당한 경우 손해배상의 책임(때에 따라서는 형사상 과실치상 등의 책임을 부담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각별히 유의하여 안전조치를 완비할필요성이 있습니다.
저자 백현진 트레이너님이 작성하신 '트레이너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이라는 이름의 책에서 발췌했습니다. 제가 구매해서 읽고 많은 도움을 받았는데 트레이너나 센터 오픈에 관심있으신 분은 추천드리는 책입니다.
여기까지 헬스클럽 및 기타 운동시설 사고 사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제품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줌의 성분과 배뇨의 구조 (방광 용량, 요도의 남녀차) (0) | 2021.12.09 |
---|---|
척추 디스크 수술 후의 재활 운동 프로그램 (0) | 2021.12.08 |
목 디스크를 관리를 위한 필수 위생 관념 (0) | 2021.12.06 |
필라테스 운동 효과 (골프, 승마, 수영과 병행하면 좋은 이유) (0) | 2021.12.06 |
당질제한 식단과 이론 (노인 무릎 관리를 위한) (0) | 2021.12.05 |
댓글